1) 트럼프 대통령, 백악관에서 월가 CEO들과 만찬 개최 정책·시장 소통 채널 가동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JP모건 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등 월가 CEO들을 백악관 만찬에 초청하며 시장과의 직접 소통 채널을 재가동했다. 금융규제·세제·무역정책을 포괄하는 의제 논의가 예고되면서, 단기적으로 금융·증권 섹터의 정책 감응도가 높아질 전망이다.대형 금융사 CEO와의 공개적 교류는 정책 불확실성 축소 신호로 해석될 수 있으나, 동시에 규제·세제 방향성에 따른 은행·브로커리지 밸류에이션 재조정 가능성도 커진다.2) 트럼프, ‘50년 만
1) 트럼프 미국 대통령, 대(對)중국 관세 권한 수호 촉구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대법원이 행정부의 관세 부과 권한을 제한할 경우 “미국은 경제적 재앙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하며, 대중 관세가 산업·일자리 방어에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관세 정책을 경제·안보 프레임으로 재확인한 발언으로, 무역 마찰의 장기화를 시사한다. 공급망 재배치·가격 전가를 통한 인플레 재점화 압력이 동반될 수 있으며, 중국 익스포저 비중이 높은 글로벌 기업과 신흥국 환율 변동성에 대한 경계가 요구된다.2) 연준 내부, 추가 금리인하 필요성 놓고 “의견 불일치
① Reserve Bank of Australia(RBA) 부총재 앤드루 하우저RBA 부총재 앤드루 하우저는 시드니에서 열린 컨퍼런스에서 “작년부터 수요가 잠재생산능력 위에서 진행되고 있다(This implies there is less room to grow the economy without generating inflationary pressures)”고 진단했다. 그는 또한 “현 거시 상황에서는 완화적 통화정책의 여지가 거의 없다”고 덧붙였다.호주 경제가 회복국면에 진입하면서도 자원이 부족하고 공급능력이 제한적이라는 진단은
1. Stephen I. Miran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이사미국 연준 이사인 스티븐 미란은 이날 뉴욕에서 열린 컨퍼런스에서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의 과잉 채택이 금리를 아래쪽으로 압박할 수 있다”고 경고하였다. 그는 특히 “시장 전반에 퍼진 디지털화폐 스테이블코인의 유동성 증가가 통화정책의 유효성을 저해할 수 있다”고 진단하였다.디지털·암호화폐 인프라의 확장이 중앙은행의 전통적 통화정책 도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발언은, 금융시장과 암호화폐 시장 모두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진다. 특히 기술주·암호화폐 혼
1) 영란은행(BoE) 총재 “정책금리는 ‘점진적 하향 경로’로”영란은행의 앤드루 베일리 총재는 통화정책회의 직후 기자회견에서, 4.0%로의 동결(5대4 근소 차)을 알리며 “정책금리가 앞으로 ‘점진적 하향 경로(gradual downward path)’를 따를 전망”이라고 밝혔다. 동시에 AI가 생산성 향상의 잠재력이 크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AI 수익을 시장이 과대 가격에 반영할 경우 버블 위험이 있다”고 경계했다.금리 인하의 ‘경로’ 언급은 첫 신호에 가깝지만, 베일리가 AI 밸류에이션을 공개 경고한 대목은 기술주 중심 리스
1. Andrew Bailey 영국은행(영국중앙은행) 총재영국중앙은행은 이날 발표된 연설에서 향후 금리인하 가능성에 대해 “이번 결정은 불확실성(un-certainty) 속에서 이뤄졌으며, 인플레이션·임금상승률·성장 둔화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매우 어려운 과제”라고 언급하였다.영국 중앙은행의 수장이 금리 인하를 ‘조건부’로 언급한 것은 시장이 당초 기대했던 완화 스탠스를 다소 수정해야 한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기술주·성장주 등 위험자산 중심의 포트폴리오에는 부담이 될 수 있으며, 특히 달러·파운드 환율 및 채권시장의 변동성
1. Donald Trump 미국 대통령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당선 1년을 기념해 발표한 보고서에서 “지난 1년간 글로벌 금융시장과 자본흐름은 우리의 정책 변화에 맞춰 크게 요동쳤으며, 주식·금·암호화폐 모두 사상 최고치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무역정책과 달러의 가치, 그리고 공급망 재편이 글로벌 시장을 재구조하고 있다”고 강조하였다.미국 현직 대통령이 금융시장·암호화폐·무역을 거시적 맥락에서 언급한 것은 시장 참가자들에게 ‘정책 리스크’가 다시 주요 투자 변수임을 확인시켜 주었다. 달러 가치 하락, 금급등, 암
[경제플러스=이솔 기자] 1. Xi Jinping 중국 국가주석: “공급망 안정을 위한 국제협력이 더욱 중요하다”중국 주석 Xi Jinping은 이날 한국 경주에서 열린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APEC) 정상회의 연설을 통해, “이 시기야말로 글로벌 공급망이 불안정한 가운데 각국이 협력해야 할 때이며, 무역 루트를 비롯한 경제 흐름이 파괴되지 않도록 책임 있게 행동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중국이 이러한 메시지를 내놓은 것은 자국이 글로벌 공급망 재편 및 무역 협력을 주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1. Bill Thomas (KPMG 글로벌 회장 겸 CEO)“궁극적으로 시장의 변동성을 수용하고 조직의 전략적 투자 영역에 집중할 수 있는 리더가 새로운 기회를 열고 지속가능한 장기 성장을 구축할 것이다.” KPMG가 1,350명 이상의 CEO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세계 경제에 대한 신뢰 지수가 최근 5년 내 최저 수준으로 내려갔지만, 기업들은 인공지능(AI), 인재 확보, 디지털 전환 투자를 가속하고 있다는 내용이다.기업 경영진이 거시경제 전망은 어둡게 보지만 자사 성장전략에 대해서는 여전히 낙관적이라는 의미다. 이는 ‘불
1. Scott Bessent 미국 재무장관, “일본 정부는 Bank of Japan(BOJ)에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한 ‘정책 공간(policy space)’을 허용해야 한다”고 촉구미 재무장관 Bessent는 일본 도쿄에서 열린 회담 직후 “일본은 지속되고 있는 물가상승과 약세 엔화 상황에서 BOJ가 정책 정상화를 추진할 수 있도록 정부가 뒷받침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이 발언은 일본의 초완화 통화정책이 글로벌 환율·자금 흐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미국 측의 관심을 반영한 것이다.재무장관이 타국 중앙은행·통화정책에 대해 직접
1. Scott Bessent 미국 재무장관, 일본에 “견실한 통화정책(sound monetary policy)” 채택을 촉구미국 재무부가 발표한 성명에 따르면, 재무장관 Bessent는 28일 일본 재무성 가타야마 사츠키 장관과의 회담에서 “인플레이션 기대를 고정하고 환율 변동성을 억제하기 위해 견실한 통화정책과 그에 대한 명확한 소통(communication)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이는 일본은행(Bank of Japan)이 완화기조에서 빠르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미국 측의 우려가 반영된 발언으로 해석된다.미국이 일본의
1. 영국 총리 Keir Starmer,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관련 “러시아 석유·가스를 글로벌 시장에서 배제하겠다”고 선언Starmer 총리는 러시아의 침공을 강도 높게 비판하며, 영국 및 우크라이나 연합체가 러시아의 전쟁 자금을 차단하기 위해 “러시아산 석유·가스를 국제 시장에서 제거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얼어붙은 러시아 자산의 해제 및 우크라이나 재건 자금으로의 전환을 빠르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에너지·국제무역·안보가 결합된 이 선언은 지정학 리스크가 단순히 군사적 문제가 아닌 글로벌 공급망·원자재 시장 변동성으
1. Philip R. Lane 유럽중앙은행(ECB) 집행위원, “금융서비스 부문에서 규제·감독 틀의 중요성은 여전히 매우 크다”고 강조Lane 위원은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열린 금융서비스 포럼에서, “금융서비스 산업이 민간 부문과 공적 감독 틀 간 상보관계(complementarity)를 바탕으로 작동해야 한다”면서 “아일랜드 은행위기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우리는 감독과 규제에 대해 결코 안일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금융시장이 활성화될수록 규제 및 감독 리스크도 함께 증가한다는 경고다. 특히 금융기관이 글로벌 자금 흐름에 연계되
1. Donald Trump 미국 대통령, “우크라이나-러시아 회담은 지금은 시기상조일 수 있다”고 발언트럼프 대통령은 예정됐던 헝가리 부다페스트 회담을 앞두고 “지금 회담을 하면 시간 낭비가 될 수 있다”는 견해를 밝히며 회담 일정이 연기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그는 “우리는 낭비할 만한 회담을 하고 싶지 않다”고 강조하였다.미-러 정상회담의 연기 가능성은 지정학적 불확실성을 다시 부각시키는 요소다. 시장은 외교 이벤트의 실체보다 회의 가능성의 불확실성에 반응하며, 이는 위험 프리미엄과 자산 가격의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2.
1. Donald Trump 미국 대통령, 곧 있을 Xi Jinping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 앞두고 “환상적 거래(fantastic deal)를 이룰 것”이라고 선언트럼프 대통령은 호주 총리와의 회담 중 향후 중국과의 무역 및 희토류 사안에서 “환상적인 협상이 가능하다”고 자신감을 표명하였다. 그는 “미국은 아주 강한 위치에 서 있다”고 강조하면서, 협상 결렬 시 내달 1일부터 중국 수입품에 대해 최대 100%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위협도 언급하였다.무역 협상의 낙관적 메시지는 위험선호 회복을 자극할 수 있으나, 동시에 관세
1. European Central Bank(ECB) 총재 Christine Lagarde, “글로벌 경제가 아직 관세 충격을 완전 인식하지 못했다”Lagarde 총재는 “현재 수출입 기업이 관세 비용을 흡수하고 있지만, 이 상태가 지속되면 결국 소비자 물가에 전가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며, 기술 변화(특히 AI)가 경제구조 변동의 핵심축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관세 부담이 아직 소비자 가격이나 내수 수요로 전이되지 않았다는 인식은 ‘잠재적 인플레이션 부담’이 아직 시장에 반영되지 않았다는 신호로 볼 수 있다. 이는 실물경제·금
1. 일본 재무장관, 과도한 환율 변동성에 경계 제기일본의 가토 캇스노부 재무장관은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 회의에서 “환율의 과도한 변동성은 경제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고 경고하였다. 그는 무역 긴장과 지정학 리스크가 기업과 소비자의 행동을 제약하고 있으며, 인공지능·기후변화·인구구조 변화 등의 장기적 전환이 경제·사회적 불평등과 정치적 불안을 키울 수 있다고 지적하였다.환율 불안정은 수출입 기업의 원가·매출 구조를 흔드는 변수다. 특히 엔화가 급변할 경우 일본 내수 및 수출업체 모두 리스크에 노출되고, 금융시장 전반에도
1. Nvidia, 미국 현지 웨이퍼 생산 개시로 반도체 공급망 재편 신호Nvidia는 미국 애리조나 소재 파운드리 시설에서 처음으로 ‘Blackwell’ 칩 웨이퍼를 생산했다고 발표했다. 이 웨이퍼에는 2nm, 3nm, 4nm 설계 기술이 포함되어 있으며, AI·통신·고성능컴퓨팅 응용을 위해 설계되었다. 이로써 반도체 공급망의 미국 현지화 흐름이 가속화되고 있다.미국과 중국 간 기술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Nvidia의 현지 생산 확대는 전략적 위치를 강화하는 움직임이다. 반도체 밸류체인이 미국으로 옮겨지는 신호탄이 될 수 있으
1. 트럼프의 대중국 관세 위협에 시장 급반락10월 10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중국의 핵심 소프트웨어 수출과 희토류 통제를 빌미로 11월 1일부터 중국산 제품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밝히자, 뉴욕 증시는 급락하였다. S&P 500은 –2.7% 하락해 6,552.51로 마감했고, 나스닥은 –3.6% 급락하며 기술주 중심의 약세가 두드러졌다.전략적 공급망 차질 우려가 기술·반도체 기업들의 주가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었다. 특히 중국과 연관된 부품을 사용하는 기업들에게는 리스크 프리미엄이 빠르게 상승하였다.2
1. IMF 총재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강한 회복세지만 과열 경고도 필요하다”IMF의 총재 게오르기에바는 밀켄 연구소 행사에서 “세계 경제는 예상보다 더 견조하다”면서도 “시장 밸류에이션이 닷컴 버블 전후 수준을 닮아가고 있다”며 강한 조정 리스크를 경고했다. 또한, 공공부채가 2029년까지 GDP 대비 100%를 초과할 수 있다는 중기 위험 전망도 제시했다.글로벌 회복 흐름을 긍정적으로 본 시각이지만, “불확실성 = 신상수(normal)”라는 문구로 경계 분위기를 강조한 게 포인트. 과열 경고는 투자자 심리를 제어하는 역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