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플러스=김동욱 기자] 신한 금융의 내분이 한달여를 넘기고 있지만 사태 해결의 기미가 보이지 않아 국가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신한’과 관계된 사람과 기관들의 피로감이 극에 달하고 있는 것이다.

내부 임직원들이야 말할 것도 없고 신한은행과 거래하는 고객들도 예금이 만기가 되면 은행을 옮겨야 할지에 대해서 심각하게 고민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각 지점의 창구에는 은행의 안부를 걱정하는 고객들의 문의가 부쩍 많아졌다는 전언이다.

대한민국 금융의 모범생으로 평가받고 자타가 공인하는 영업의 달인 신한은행이 어쩌다 이런 상황까지 이르게 됐을까. 신상훈 신한금융지주 사장은 지난 27일 사내 게시판에 올린 ‘사랑하는 신한 가족 여러분’이란 글에서 “(신한금융 사태는) 우리 스스로가 사회적 자본을 손상시키는 자해 행위를 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너무 많은 것을 잃어버렸습니다. 외부로부터 상식과 인륜을 벗어난 조직으로 낙인 찍혀 버렸습니다”고 덧붙였다.

사실 그대로다. 전직 은행장을 현직 은행장이 검찰에 고소하고 그룹 회장이 지주사 사장의 해임건의안을 상정하기 위해 이사회를 소집한 사실만으로도 대한민국 금융 역사에 길이 남을 전무후무한 사건이다.

한 시중은행의 고위 관계자는 “은행은 고객의 신뢰를 먹고 사는 조직”이라고 전제하고 “은행원들은 일반 기업의 직원들보다 한 차원 더 높은 수준의 도덕성을 요구받는데 고객의 돈을 관리하는 조직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그래서 부모와 자식간에도 돈 맡기는 법이 없지만 은행에는 믿고 맡기는 것 아니냐” 고 반문했다. 그러나 현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금융권 관계자들은 “수뇌부의 권력 다툼과는 무관하게 ‘신한’이 위태해지면 안된다”고 입을 모은다.

신한이 그만큼 신뢰받는 조직이었고 우리 금융에서 큰 자리를 꿰차고 있다는 반증이다. 그렇다면 신한금융의 내분 사태는 이와 관련된 이해 당사자들 즉 라응찬 회장, 신상훈 사장, 이백순 행장이 그 매듭을 함께 풀어야 순리에 맞다.

기자는 신한금융 사태를 취재하는 내내 을지문덕 장군이 수나라 우중문에게 보냈던 여수장우중문시(與隋將于仲文詩)가 머리속을 맴돌았다. ‘전승공기고’(戰勝功旣高, 전쟁에 이겨 이미 공이 높으니), ‘지족원운지’(知足願云止, 만족함을 알고 그만두기를 바라노라).

신한금융그룹의 수뇌부가 이 구절의 의미를 좀 더 빨리 깨닳기를 간절히 바란다.
 

저작권자 © 경제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