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플러스=김동욱 기자] 최근 저축은행과 금융감독원의 밀착형 부패가 속속 밝혀지면서 이 두 기관에 대한 국민들의 분노가 식을 줄 모르고 있다.

특히 저축은행은 은행이라는 간판을 달고 서민들의 돈을 강탈한것과 다름없는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어 온라인상에서는 “비리 저축은행의 재산을 몰수해야 한다”는 의견까지 공공연히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만난 시중은행들의 부행장들은 “저축은행의 비리를 보면 할 말이 없다”면서 “저축은행 이름에서 은행자를 때야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또 “저축은행 때문에 건실한 시중은행들까지 도매금으로 취급받아 얼굴을 못들 지경”이라고 하소연 한다.

은행의 고위관계자들이 이렇게 침통한 상황인데 하물며 피해를 입은 고객들은 어떻겠는가. 저축은행 사태의 피해자들은 대부분 영세한 서민들이다. 한푼두푼 아껴서 모은 돈을 금리 조금 더 주는 저축은행을 믿고 몽땅 털어 넣었다.

그런 서민들의 돈을 영업정지 맞은 후에도 인출해내 달아난 것이다. 평생 모은돈이 날아가고 5000만원까지만 보증을 해준다면 어느 누가 “그것만이라도 찾아서 다행" 이라면서 수긍할 수 있을까.

저축은행의 대주주들은 미리 정보를 입수해 자신들의 돈도 아닌 서민들의 돈을 제것인냥 인출해간 것은 은행이라는 간판을 걸고 도둑질을 한 것과 전혀 다를게 없는것이다.

이런 나라를 뒤흔들만한 사건에서 금융감독원은 조연역활을 톡톡히 해냈다. 금융감독원이 어떤곳인가. '금융감독기구의설치등에관한법률'에 의거 은행감독원, 증권감독원, 보험감독원, 신용관리기금 등 기존 4개 감독기관을 하나로 통합해 지난 1999년 1월 2일 설립됐다.

은행, 증권, 보험, 신용카드, 저축은행 등 모든 금융 분야에 대한 감독권을 가지고 있어 그 위상이 한국은행, 기획재정부, 수출입은행, 산업은행등 한국을 대표하는 금융기관들과 어깨를 견줄 정도이다.

또 고시등 어려운 시험을 거치지 않고 합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공공기관중 하나이기 때문에 인문계 대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직장중에 한곳이다. 직원들 평균 연봉이 9000만원이 넘고 실국장들은 훨씬 많이 받는 것으로 알고있다. 한마디로 절대 권력과 돈을 양손에 움켜쥔 기관인 셈이다.

게다가 퇴직후에는 은행이나 금융그룹 혹은 증권사등의 감사직을 꿰차면 수억원의 연봉을 받는 귀하디 귀한 몸으로 수직상승했다. 지난 2009년 김종창 원장 재직시절에 받은 금감원 간부전화 수첩을 보면 금감원장에 감사와 수석부원장과 부원장보를 합치면 열명이 넘는다.

실국장들은 얼추 봐도 서른명은 넘어 보인다. 이분들이 모두 금감원에서 닦은 인맥을 발판삼아 낙하산으로 금융사에가서 방패막이 해주고 금감원의 칼날을 무디게 한 것이다. 상황이 이지경인데 금감원이 저축은행의 부실을 못 잡아내고 눈감아주고 한 것도 무리는 아닌 것 같다.

금감원이 저축은행등을 관리할 여력이 안되고 업무량이 너무 많으면 집중된 권력을 떼내야 한다. 백화점처럼 모든 권력을 꿰차고 앉아 있으니 그게 썪어서 부패한 냄새가 천지를 진동해도 정작 본인들은 깔고 앉아서 알아채질 못했다. 기가막힌 대통령이 한달음에 달려와서 호통을 치긴 했는데 얼마나 달라질지는 두고봐야 할 일이다.

금감원은 얼마전에 실국장들을 보직을 전부 교체했다. 하지만 조직을 쇄신하기 위해서는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금감원장은 조직을 다시 추스리고 정비가 완료되는데로 속히 물러나야 한다. 그래야 국민들이 납득할 것이다. 대충 어영부영 북한탓하고 자리보전한 농협중앙회 회장하고는 격이 다름을 보여줘야 한다.

땅속 깊이 쳐박힌 금감원의 위신을 어떻게 재정립할지 온 국민들이 지켜보고 있다.

저작권자 © 경제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