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플러스=정희원 기자] 지난 10일 코스피지수가 1800선을 돌파하면서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가 완화 됐지만 향후 미국과 중국의 정책 강도와 내용에 따라 하반기 경기 변화의 주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은 하반기 경기우려로 경기부양정책을 준비하고 있다. 반면 중국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대응하기 위해서 통화긴축 강도를 높일려고 해서 양국의 정책이 서로 상반되는 방향성을 갖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과 중국의 정책 강도와 내용에 따라서 주식시장의 방향성이 결정될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른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

하반기 미국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면서 지난 9월 8일 오바마 대통령은 향후 10년간 총 3.3조 달러를 투입하는 추가 경기부양책을 발표했다.

그러나 11월 2일 상∙하원 중간선거를 앞두고 있는 민주당은 패배가 확실시되고 있어서 이번 추가 경기부양책은 원안대로 의회를 통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또 미국 연방정부 재정적자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고 있는데 2010~2016년까지 총 6.8조달러의 연방정부 재정적자가 예상되고 있다.

2016년까지 2.0조 달러에 상당하는 경기부양책이 실시될 경우 향후 6년간 누적 재정적자는 8.8조 달러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한편 금융위기 이후 경기부양책을 통해 글로벌 경기회복세를 견인한 중국은 2가지 상반된 불안요소가 공존하고 있었다.

하반기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는 동시에 통화팽창으로 인한 물가상승 압력이 증가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중국은 2010년에 3차례에 걸쳐서 지급준비율을 인상하고 은행권의 신규대출을 연간 7.5조 위안으로 통제하는 등 제한된 통화긴축을 진행했다.

그러나 지난 8월 산업생산이 반등세를 보이면서 경기둔화 우려가 완화 됐지만 소비자물가는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향후 중국이 통화긴축의 강도를 높일 가능성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저작권자 © 경제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