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플러스=김두윤 기자]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 포스코, SK에너지 등 총 374개 업체가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업체로 지정됐다.
지식경제부는 28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제2차 온실가스.에너지 관리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고시했다.
온실가스 목표관리업체로 지정되면 공정별 온실가스 배출 명세서를 정부에 제출하고, 일정한 수준의 온실가스 감축 의무량을 할당받아 2012년부터 이행해야 한다.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에 따르면 2007년부터 3년간 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이 12만5천tCO₂이상인 업체가 2011년 말까지 온실가스 목표관리 업체에 우선 해당한다. 이 기준은 2014년까지 점차 확대된다.
지경부는 산업발전분야 374개 관리업체의 총 온실가스 배출량은 3억6100만tCO2로 국가 총량의 58.2%를 차지한다고 설명했다.
업종별로는 석유화학 업체가 78개로 가장 많고, 제지 목재(57개), 발전·에너지(36개), 철강(34개), 반도체·디스플레이(31개), 기계(28개) 등 순이다.
한편 지경부는 중소기업의 온실가스 감축을 지원하기 위한 '중소기업 온실가스 감축 지원방안'을 마련했다.
올해 374개 업체 가운데 중소기업은 120개로 전체의 32.1% 수준이며, 2014년까지 전체 산업·발전분야 관리업체가 560여개로 늘어나면 중소기업 비중은 40%(220여개)로 증가할 전망이다.
지경부는 우선 중소기업 부담 경감을 위해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기술과 자금을 지원하고, 이로써 발생하는 온실가스 감축 실적 중 일부를 대기업의 실적으로 인정하는 '그린 크레디트(Green Credit)' 제도를 내년부터 도입할 방침이다.
또 중소기업의 인벤토리 구축이나 명세서작성에 대한 컨설팅비용으로 업체당 1700만원을 지원하고, '에너지 멘토' 30여명을 4개 업체당 1명씩 배치해 온실가스 감축 업무를 측면 지원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에너지 절약 전문기업(ESCO) 융자자금을 올해 1천350억원에서 4천500억원으로 확대해 중소기업 전용으로 운영하고, 중소기업에 대한 이자율도 추가 인하한다.
박영준 지식경제부 2차관은 "올해 지정된 관리업체의 목표관리제 이행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올해 중 마련될 부문별·업종별 중장기 감축목표를 바탕으로, 내년 9월까지 업체별로 합리적인 감축목표를 도출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