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플러스] 이번주 이슈는 상하이종합지수가 2600선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전망이다.

주가의 중 · 장기적 방향성에 대해 전문가들 사이에 의견이 엇갈리고 있으며 2600선을 두고 치열한 공방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중국 경제에 대해 인플레 조짐으로 긴축이 불가피하다는 주장과 경기 둔화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서 부양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충돌하고 있다.

긴축과 부양이 거론될 때마다 분위기가 한쪽으로 쏠리면 지수의 등락이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0일부터 4거래일 동안 상하이종합지수가 2600을 놓고 등락을 반복한 것은 이 같은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시장 내부적으로 투자심리를 위축시킬 재료가 크게 부각되고 있다. 중국 은행감독당국이 모든 대출 관련 자료를 서류에 명기하고 부실채권 분류 기준을 강화하도록 지시했기 때문이다.

즉, 은행들이 대규모 증자에 나설 수밖에 없다는 것을 말한다. 서류에 나타나지 않는 채권이 많지만 이를 공개해야 하기 때문에 자산의 건전성 비율을 맞추기 위한 자금 확충이 필요하므로 시장에 물량 부담 압박이 가해질 수밖에 없는 때문이다.

우리투자증권은 “단기급등에 따른 경계심리도 높아졌고 호재성 재료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번주는 횡보장세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며 “다만 상하이종합지수가 2600선을 단기 저점으로 굳힌다면 시장은 조만간 강세장으로 전환될 것이다”고 예상했다.

저작권자 © 경제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