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플러스=정희원 기자] 정부는 추석을 앞두고 서민 생활과 밀접한 농·축·수산물 가격이 급등하고 체감경기 회복이 늦어지자 2일 국민경제대책회의를 열고 서민물가 안정방안을 논의했다.
올 여름 이상 기후로 급등세를 보이는 농·축·수산물은 공급량을 늘리고 관세를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최근 가격이 2배 이상 증가한 마늘은 올해 예정된 수입 의무물량을 다음달까지 조기 도입해 전량 방출하기로 했다. 현재 파종 중인 김장용 무와 배추는 적정 재배면적을 확보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수산물은 가격 상승이 우려되는 품목에 대해선 공급물량을 대폭 늘리고 현행 조정관세를 낮추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명태는 추석 전까지 민간비축 및 신규 도입 물량을 5만톤 수준으로 공급하기로 했다.
국제 곡물가격이 급격히 오르면서 상승세를 보이는 밀가루에 대해선 할당관세를 검토한다. 가공식품은 가격 인상 담합이 발생하지 않도록 불공정행위 감시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서민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생활용품은 국내외 가격차가 큰 만큼 할당관세를 추진하기로 했다.
물가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는 공공요금도 원칙적으로 동결하는 방침을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오를 가능성이 있는 지방 공공요금은 집중 관리하고 물가 안정에 기여하는 지방자치단체에 대해선 재정상 인센티브 혜택을 주기로 했다.
정부 관계자는 “전반적인 경제 지표는 빠르게 개선되고 있지만 체감경기 개선으로는 이어지지 못하고 명절이 다가올수록 물가 걱정이 커지는 만큼 장단기 물가안정 방안을 내놓았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추석을 맞아 총 14조5000억원의 자금을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대출해주기로 했다. 햇살론을 통해 저금리자금 지원을 늘리고 5222억원 규모의 근로장려금을 추석 전에 앞당겨 지급한다는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