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변동성 확대로 거래소 수익 ‘낙수 효과’ 기대

나스닥을 비롯한 주요 거래소들이 최근 급등한 거래량으로 인해 2분기 트레이딩 및 인프라 수익이 예상치를 훌쩍 넘어설 것으로 전망됩니다. 시장 혼란이 도리어 거래소의 이익 확대 기회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2. 무역 협상 기대에 S&P·나스닥 신고가 행진

일본·유럽 무역 협상에 대한 기대가 시장의 신뢰를 뒷받침하며 S&P500과 나스닥은 연일 신고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무역 낙관론’을 핵심 모멘텀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3. 테슬라, ‘거친 분기’ 경고에도 주가 강세 유지

일론 머스크는 EV 보조금 축소와 경쟁 압력으로 인해 “앞으로 몇 분기는 거칠 것”이라면서도, 테슬라 주가는 상대적으로 단단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4. 밈 주식 열풍 확대 – 리테일 주도 랠리

Krispy Kreme, GoPro, Beyond Meat 등 개인 투자자 중심 종목들이 소셜 미디어 호응에 힘입어 20~45% 급등했습니다. 펀더멘털보다 심리에 기반한 투기 상승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5.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관세 리스크 반영해 하락

Texas Instruments는 관세 문제와 수요 약화 우려가 겹치며 실적 가이던스를 하향했고, 이에 따라 주가는 약 12% 급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6. GM, 제조업 관세 충격에 따른 이익 둔화

GM은 무역 관세로 인해 분기 이익이 약 11억 달러 감소했다고 발표해 주가가 8% 이상 하락했습니다. 글로벌 관세 정책이 제조업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이 현실화된 사례입니다.

7. 알파벳, 클라우드·AI 투자 확대로 주가 반등

Alphabet은 강력한 클라우드 실적과 AI 투자를 확장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며 주가가 3% 이상 상승했습니다. 기술 중심의 구조적 성장 전략이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8. American Airlines, 경제 불확실성 속 모호한 전망

American Airlines는 2025년 손익 전망을 ‘-0.20달러에서 +0.80달러’로 넓게 유지하며 경제 상황에 따른 불확실성을 인정했습니다. 투자자들은 신중한 대응을 요구받고 있습니다.

9. 10년물 국채 금리 급락에 금리 인하 기대 확대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가 하락하면서 CME FedWatch에 따르면 시장은 9월 금리 인하 확률을 약 56%로 보고 있습니다. 통화정책 기대가 주가 모멘텀으로 전이되는 양상입니다.

10. WTI 유가 4일 연속 하락 – 상품 시장 긴장 완화 신호

WTI 국제 유가는 4거래일 연속 하락하며, 이는 글로벌 무역 협상 기대와 맞물려 상품시장의 일부 긴장 완화 흐름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 변동성이 거래소 수익으로 연결되며, 리스크 간접 수혜가 나타남.

  • 무역 낙관론이 주가 신고가를 견인, 특히 기술주 중심의 랠리가 이어짐.

  • 정책 리스크 반영 사례로 TXN과 GM 등의 종목이 뚜렷히 조정 받음.

  • 밈 주식 열기와 AI·클라우드 중심 기술 주도 전략이 시장의 두 축 역할.

  • 금리 인하 기대와 상품시장 안정 흐름으로 투자 심리가 다층적으로 전개됨.

저작권자 © 경제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