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제 리더들, 전환기 경고음… 불확실성 속 구조적 대응 주문

[2025년 7월 10일]

전 세계가 다시 불확실성의 장벽 앞에 서 있다. 미국의 고율 관세 복귀, 기후위기에 따른 성장둔화, 자본 이동 제한 등은 단순한 일시적 충격이 아닌 장기적 구조 변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글로벌 금융정책 수장들과 경제 리더들의 최근 발언은 이러한 전환기의 복잡성을 가감 없이 드러내고 있다.

일본은행(BOJ)의 지역 지점장들은 미국이 추진 중인 관세 재개 조치가 당장은 일본 수출에 큰 타격을 주지 않지만, 8월 이후 확대될 경우 제조업 전반에 먹구름이 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공급망이 다변화된 일본조차도 정치적 변수 앞에서는 자유롭지 않다는 현실을 반영한다.

유럽중앙은행(ECB) 부총재 리비오 스트라카는 유럽 금융감독기구의 공동 보고서를 인용해 “폭염, 산불, 홍수와 같은 기후 재난이 유로존 GDP를 향후 5년간 최대 5% 감소시킬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기후 위기가 단지 환경적 문제가 아니라, 금융 안정성 자체를 흔드는 재무적 리스크로 다뤄져야 한다는 관점이다.

ECB 수석이코노미스트 필립 레인 역시 단순한 관세 이슈를 넘어 안보 정책, 자본 이동 제한 조치들이 금융 불안정성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는 기존의 무역 중심 리스크 프레임에서 벗어나, 보다 복합적이고 지정학적인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는 의미다.

이러한 맥락에서 도이체방크의 전략가 헨리 앨런은 “여름철 유동성 약화 시기에는 사소한 이벤트도 시장에 비정상적 충격을 유발할 수 있다”며 무역분쟁, 금리 해석 오류, 재정 갈등이 중첩될 경우 갑작스러운 시장 붕괴가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CGS 인터내셔널의 CEO 캐롤 퐁은 “트럼프의 관세 발언에 시장이 점차 둔감해지고 있다”고 말하며 단기적 충격보다 시장 체력의 내성에 주목했다. 하지만 이는 단순한 안도감이 아닌, 향후 시장이 체계적인 정책 신호 없이는 반응을 멈출 수 있다는 경고로도 해석된다.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이 모인 IMpower 포럼에서는 전통적인 60대 40 포트폴리오 전략의 종말이 선언됐다. 주식과 채권의 분산 전략만으로는 시장 위험을 감내하기 어렵고, 프라이빗 자산과 인프라 자산 등으로의 다변화가 필수적이라는 주장이 다수였다.

영란은행(BOE) 역시 글로벌 지정학 갈등과 에너지·무역 불안정이 자산 가격에 즉각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국내 은행들에 자본 완충 확대를 지시하고 있다. 이는 중앙은행조차 단기 금리 정책만으로는 금융 시스템을 안정시키기 어렵다는 인식을 반영한다.

글로벌 자금의 흐름에도 변화가 감지된다. LSEG 리퍼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전 세계 액티브 주식형 펀드에는 약 1,270억 달러가 유입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투자자들이 단순히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전략에서 벗어나, 보다 능동적·전략적인 운용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미국 대선 국면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14개 국가를 겨냥한 최대 50%의 관세를 언급하며 다시 한번 글로벌 무역 질서를 흔들 조짐을 보였다. 이러한 고관세 위협은 수출 구조가 얽혀 있는 대부분의 국가에 환율, 무역, 투자 흐름에 연쇄 충격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

이처럼 세계 경제는 단순한 일시적 충격이 아닌 다층적 리스크가 중첩된 ‘전환의 시기’에 직면해 있다. 각국 정책 담당자들은 이제 인플레이션, 금리, 무역만이 아닌 기후와 안보, 자본 이동의 구조적 변화에 대비하고 있으며, 시장 역시 과거의 투자 상식을 넘는 새로운 전략을 요구받고 있다.

저작권자 © 경제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