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플러스=송성훈 기자] 2월 산업생산과 소비·투자가 감소 한 달 만에 모두 증가세로 돌아섰다.
장기간 침체를 빠진 건설업 생산이 7개월 만에 늘었고 경기 흐름을 보여주는 동행·순환지수도 모두 상승했다.
다만 정부는 최근 산업활동 지표가 월별로 변동성이 크게 나타나고 있어 이를 뚜렷한 회복세로 보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또 소비 심리 위축에 숙박·음식점업 생산이 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고, 소매판매도 1년 전보다 감소세가 이어지는 등 부문별로는 불안한 흐름이 나타났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2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 달 전산업생산 지수는 전달보다 0.6% 증가했다.
전산업생산은 지난해 12월 1.8% 늘어난 뒤 1월 3.0% 줄었지만 한 달 만에 다시 증가했다.
광공업 생산은 전자부품(9.1%) 등 제조업(0.8%)에서 늘며 전달보다 1.0% 늘었다.
건설업 생산은 건축(-2.2%)에서 실적이 줄었지만 철도·도로공사 진척분 등이 늘어난 영향에 토목(13.1%)에서 증가세를 보이며 1.5% 늘었다.
서비스 소비를 보여주는 서비스업은 정보통신(-3.9%) 등에서 줄었지만 도소매(6.5%), 금융·보험(2.3%) 등에서 늘며 전달보다 0.5% 늘었다.
숙박·음식점업은 3.0% 줄며 2022년 2월(-8.1%)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세를 나타냈다.
지난해 연말 항공기 사고, 탄핵정국 등 정치적 불확실성에 따른 소비 위축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숙박·음식점업 생산도 1년 전과 비교해도 3.8%(불변지수) 감소하는 등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재화 소비를 뜻하는 소매판매 지수는 전달보다 1.5% 증가했다.
승용차(13.5%) 등 내구재(13.2%) 판매가 늘어난 것이 주된 영향을 미쳤다. 승용차 판매는 보조금 집행 영향으로 2020년 3월(48.6%)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내구재는 2009년 9월(14.0%) 이후 최대폭으로 늘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자동차 등 운송장비에서 투자가 늘면서 전달보다 18.7% 증가했다.
건설기성(전기비 1.5%)은 토목이 크게 늘며 반등했지만 1년 전에 비해선 부진이 지속되며 21%나 줄었다.
현재의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와 향후 경기 국면을 예고해주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각각 01.포인트 상승했다.
최근 산업활동 동향 지수는 매달 등락을 거듭하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생산·소비·투자 지표는 지난해 11월 모두 감소한 뒤 매달 트리플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모습이다.
정부는 재난·재해 대응, 통상 및 AI 경쟁력 강화, 민생 지원 등 3대 분야에 집중한 10조원 규모 필수 추경을 추진하는 등 민생경제 회복과 대외 리스크 대응에 모든 역량을 총동원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