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플러스=이솔 기자]
메리츠화재가 MG손해보험 인수를 위해 현장 실사를 시도했지만, MG손보 노동조합의 반발로 무산되면서 두달째 인수 절차가 멈춰있는 상황이다.
이에 MG손보 매각을 주관하는 예금보험공사는 법적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
메리츠화재는 지난 7일 오후 2시 MG손보 본사에서 실사를 시도했으나, MG손보 노조 측이 강하게 반발하며 실사는 이뤄지지 못했다.
메리츠화재는 2시간 동안 MG손보 노조와 협상을 벌였지만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고, 결국 철수했다.
MG손보 노조는 실사 과정에서 영업 기밀과 고객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또, 메리츠화재가 인수를 자산부채이전 방식을 추진하고 있어 고용 승계 의무가 없다는 점이 큰 걸림돌이다.
자산부채이전 방식은 인수자가 원하는 자산만을 선별적으로 인수하는 구조로, 대규모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가능성이 크다.
이같은 실사 무산에 예보는 법적 조치인 가처분 신청을 검토하고 있다.
메리츠화재는 지난해 MG손보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지만, 노조의 반대로 실사 진행조차 안되고 있다..
앞서 1월 9일에도 MG손보 본사에서 실사를 시도했으나 노조의 저지로 중단됐다.
만약, 이번 매각이 실패되면 예보는 MG손보를 청산도 가능하다.
MG손보가 실제로 청산될 경우, 124만명에 달하는 보험계약자들의 피해는 불가피하다.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험계약자는 최대 5000만 원까지 보호받지만, 이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손실을 볼 수 있다.
또, 청산 절차가 진행될 경우 실손보험 계약자들은 기존과 같은 조건으로 다른 보험사에 재가입하는 것도 어려워질 수 있다.
예보 관계자는 "노조와 협의를 진행했지만, 노조의 반대로 실사가 무산됐다"며 "실사를 다시 진행할 수 있는지 여러 가지 방안을 다시 고민해봐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