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플러스=정한국 기자] 최근 경기도 광주시 쌍령지구에서 작은 자본으로 입주 후 10년 뒤엔 현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분양 받을 수 있는 민간임대아파트 예비입주자 모집으로 논란이 일고 있다.

부동산 시행사인 드림하우징 관계자는 “경기광주역 드림시티의 평당 분양가는 1350만원대로 전세보증금 방식으로 임대하고, 10년 뒤에 현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에 분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시행사 관계자는 “비슷한 지역의 다른 아파트가 평당 2200만원인 것에 비해 드림시티는 평당 분양가는 1950만원대”라며, “임대로는 수익을 내지 않고, 10년 뒤 분양으로 소액의 수익을 내는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15년 뒤에 현재 시세보다 10% 이상 저렴한 가격으로 분양받을 수 있다 보니 분당 오리역 부근에 마련된 주택홍보관엔 계약하려는 예비입주자들로 북새통을 이뤘다.

주택홍보관 현장에서 만난 한 방문자는 “주택 가격이 아주 마음에 들어 회원으로 가입했다며, 보통 임대아파트는 분양 시점의 80% 가격으로 받게 되는데, 지금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분양 받을 수 있다고 해서 방문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김 씨는 최근에 토지 확보 없이 추진하는 사기분양이라는 소문에 대해 “특정 세력이 사업을 방해하려는 것일 뿐 땅부터 매입해 사업을 추진하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확인까지 받은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또, 드림하우징 이모 대표는 “최근 PF(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에 대한 제한이 걸리면서, 어느정도 현금을 갖고 있어야 사업 추진이 가능하고, 시행사가 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을 모색해 입주자에게 혜택을 돌려주는 방식의 임대사업을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 대표는 근거없는 모략이며, 주변 소문에 대해 모두 부인하고, 조목조목 반박했다.

우선, 이 대표는 “법적으로 토지의 권원을 확보해야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데, 통상 토지사용승낙서를 받으면 권원을 확보했다고 말한다”며, “지금 상황은 토지사용승낙서보다 한 단계 더 윗 단계인 토지사용매매약정을 마친 상태로 충분히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또, 이 대표는 “특히 예비입주자가 낸 가입비 전액은 신탁이 관리하면서 최우선적으로 토지 매입에 사용한다며, 착공하면 가입비는 모두 전세보증금으로 전환돼 안전하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또 “현재는 구역지정 바로 전 단계며 구역지정이 됐다고 한 적이 한번도 없고, 구역지정은 내년 3월 경에 마무리 된다고 경기도에 확인하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이러한 사실을 예비입주자에게 고지하면서 모집 중이며, 허위 사실 유포와는 관련이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대표는 신고없이 편법으로 입주위원회 회원모집 형태로 가입(계약)을 유도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선 “우린 협동조합방식이 아니고 사업시행자 방식으로 시행사가 모든 책임을 지고 사업을 추진하기 때문에 조합원을 모집할 필요가 없다”고 해명했다.

마지막으로 이 대표는 건축물 분양에 관한 법률위반이라는 지적에 대해선 “경찰에서 나와 조사를 받았는데, 각하 결정을 받았고, 지난 1월에 A경찰서의 ‘불송치 결정서’를 보면 ‘피의자들의 행위가 행위없음 사유에 해당함이 더 이상 수사를 진행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다’고 결정문에 기재돼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 대표는 자신들의 사업에 문제가 없음을 SBS 방송이 간접적으로 입증해줬다고 주장했다.

경기 광주 쌍령민간도시개발추진위원회 및 토지주 일동은 지난 21일에 SBS의 모닝와이드 ‘팩트체크 협동조합 민간임대주택 허위광고’라는 제목으로 TV 방영될 것이라고 했으나, 실제론 방영되진 않았다.

이에 이 대표는 “추진위 주장이 모두 사실이 아님을 SBS 기자가 알게 됐기 때문에 방영이 취소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경제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