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플러스=황유진 기자] 국내 이동통신사들이 인공지능 기업으로 체질 개선하기 위한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다.
이는 AI로 본격적인 수익을 내기 위해선 막대한 투자가 불가피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이동통신사들이 최근 고연차 직원들을 대상으로 연이어 희망퇴직 계획을 발표했다.
SKT는 지난달 말 노사가 직원 1인당 최대 3억원의 위로금을 주는 퇴직 프로그램 '넥스트 커리어' 프로그램을 개편하는 데 합의했다.
근속 25년 이상 혹은 만 50세 이상 직원이 대상이다. 프로그램 희망자는 2년간 유급 휴직에 들어간 뒤 복직 혹은 퇴직을 선택할 수 있다.
만일 퇴직을 결정하면 1인당 최대 3억원의 위로금을 회사에서 지급한다.
SK그룹발 '사업 리밸런싱(구조조정)' 여파도 있다. SK그룹은 최근 포털사이트 '네이트', 메신저 '네이트온' 등을 운영하는 SK커뮤니케이션즈(SK컴즈)와 SKT의 미납 통신비 채권 추심 등을 담당하는 에프앤유(F&U)신용정보를 매물로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KT 역시 오는 15일 이사회를 열고 신설법인 2곳을 내년 1월 1일자로 설립하는 안건을 의결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기존 KT에서 근무하던 수천 명의 인원들이 해당 자회사로 전환배치될 계획이다.
선로·전원 등 통신·방송 관련 설비 작업을 하는 현장직들이 주요 대상으로 신설 법인 전환배치 인원은 3780명에 이를 전망이다.
이중 실근속 10년 이상 직원에게는 기존 기본급의 70%만을 주는 대신 최대 2억원 선의 일시금을 지급한다. 약 170여명 규모의 고객상담관리(CRM) 관련 인원도 자회사인 KTis와 KTcs로 전환 배치한다.
동시에 이들 현장직들을 대상으로 한 특별희망퇴직도 단행한다. 최대 3억2000만원에 달하는 금액을 퇴직금으로 지급할 예정으로 이는 KT 역대 최고 수준으로 알려졌다.
LG유플러스는 아직 구체적인 인력 조정안은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지난 2022년 한 차례 희망퇴직을 단행했고, 지난해 말부터는 이미 비용 절감에 주력하는 등 전사 차원의 비상경영체제에 들어갔었다.
이같이 국내 이동통신사들의 구조조정 행보는 AI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AI 사업 육성에 대규모 투자를 계획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SKT는 지난해 9월 기자간담회에서 향후 5년간 AI 투자 비중을 기존의 3배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KT도 마이크로소프트와의 AI·클라우드 협업을 통해 오는 2029년까지 총 2조4000억원에 달하는 금액을 투자 계획을 밝힌바 있다.
LG유플러스는 LG그룹 차원에서 AI 투자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가운데 황현식 대표가 올해 AI 투자 규모를 전년 대비 40% 확대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