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플러스=이솔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7일 은행권 대출금리에 과도한 개입을 했다는 지적에 "당시 가계대출 추세를 꺾지 않았으면 최근 한국은행 금리 인하도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금리 등 시장에 과도하게 개입한다는 여야 의원들의 질타에 적극적으로 방어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금감원장 말로 금리가 왔다 갔다 하는 건 관치금융이자 코리아 디스카운트 원인"이라는 더불어민주당 유동수 의원의 지적에 대해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나 가계대출 추세를 그때 안 꺾었으면 지금 훨씬 더 어려운 상황이 됐을 것"이라고 답변했다.

이 원장은 "개입 방식 부분 등에서 잘했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전제하면서도 "은행권이 당시 가계대출 금리를 높인 것이 대출 규모를 줄이려는 의도보다는 이익이 늘어나는 추세에 편승한 부분이 있어 주담대 관리를 철저히 해달라고 요청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시 경제팀 내 공감대가 있었던 부분이고 우연한 기회에 제가 그 역할을 하게 됐을 뿐"이라고도 부연했다.

야당뿐 아니라 여당 의원들의 '월권' 지적도 잇따랐다.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은 "대통령도 장관도 국회의원도 헌법과 법률에 위임된 권한만 행사할 수 있다"며 "법적 근거 없이 행정지도나 명목으로 권한을 행사하는 것이 합당하지 않고, 행정지도를 해도 금융정책이나 금리에 관한 것은 금융위원장이 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가계대출 총량 규제가 폐지됐음에도 그것과 반대되는 내용의 보도자료 배포를 했다'는 취지의 국민의힘 이헌승 의원 지적에는 "과거 포트폴리오 관리 계획을 제출한 것에 맞춰 연내 관리를 해달라는 의도였다"며 "보시기에 불편한 부분이 있거나 은행·소비자들이 힘드셨다면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아울러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 규제가 갑자기 두 달 연기된 것과 관련해 정부 내 압박이 있지 않았냐는 질의에 "금융당국이 결정한 것"이라며 "책임도 금융당국에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경제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