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플러스=이솔 기자] 

정경선 현대해상 전무가 경영권 승계를 위한 광폭행보에 들어갔다. 사진은 지난 14일 서울 을지로 SKT타워에서 현대해상 정경선 CSO(왼쪽)와 SKT 유경상 CSO(오른쪽)가 협약식을 마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사진=현대해상

보험업무 전반 AI 비즈니스 혁신 전략 제휴

정몽윤 현대해상 회장의 장남인 정경선 전무가 입사 한 달여 만에 큰 성과를 내고 있어 주목되고 있다.

15일 현대해상에 따르면 SK텔레콤과 지난 14일 서울 을지로 SKT타워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보험 비즈니스 혁신을 공동으로 추진하기 위한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

이날 협약식에 참여한 정경선 전무는 "글로벌 AI 컴퍼니를 표방하는 SKT와의 긴밀한 협력에 나서게 되어 기대가 크다"며 "에이닷 등 SKT의 앞선 AI 기술을 통해 보험 비즈니스 혁신을 선도할 수 있는 의미있는 결과물들을 만들어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협력은 보험 서비스 영역의 AI 적용을 선도해 고객 경험을 혁신하고, 보험과 ICT 사업 간 협력을 통해 새로운 사업 영역을 발굴하는 등 양사의 서비스 및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추진했다.

우선 양사는 보험의 AI 전환을 위해 AI 기반의 보험 서비스 구축을 추진한다. 현대해상의 보험 비즈니스에 SKT의 다양한 AI 기술을 적용해 업무 프로세스 혁신을 도입한다.

SKT가 보유한 AI 언어 모델인 '에이닷 엑스'(A.X) LLM을 보험 업무에 적용해 고객 문의에 빠르고 정확하게 답하는 AI 콜센터 및 챗봇 서비스를 구축한다. 현대해상 구성원 전용 LLM 프로세스 구축 등 업무 효율성 제고에 나선다. 보험 인프라 분야 협력도 강화한다. SKT는 에이닷(A.)과 같은 AI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기술 노하우를 활용해 현대해상에 최적화된 AI 인프라 구축에 도움을 주기로 했다.

현대해상의 주요 보험 서비스를 SKT의 에이닷 애플리케이션(앱) 내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협력할 예정이다. 보험 상품 관련 문의나 보험 청구 등 업무를 현대해상 앱과 동일하게 구현해 에이닷 이용 고객도 보다 다양하고 폭넓은 서비스를 누릴 수 있다.

또 에이닷의 통역콜 기능을 활용해 고객 저변을 외국인으로 확대하는 등 양사의 핵심 역량인 통신 및 보험 경쟁력을 기반으로 신규사업 모델 발굴에도 적극 협력한다.

이번 현대해상의 SKT와 협력은 정 전무 주도로 이뤄졌다. 정 전무는 현대해상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보험 외 은행과 같은 다른 금융 분야에서도 먹거리를 찾는 중이다.

앞서 현대해상은 지난 5일 렌딧·루닛·자비스앤빌런즈·트래블월렛 등과 U-뱅크 컨소시엄을 구성해 제4인터넷은행 예비인가 신청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1986년생인 그는 고려대학교 경영학과와 컬럼비아대학교 MBA를 졸업한 뒤 2012년, 사회적 혁신가를 지원하는 사회적기업 루트임팩트를 설립했다. 이후에도 록펠러 자선 자문단 이사와 커뮤니타스아메리카 이사회 의장, 리질리언트 시티즈 네트워크 이사로 활동하며 비영리 사단법인에서의 보폭을 넓혀왔다.

현재 정 전무는 디지털전략본부와 브랜드전략본부, 커뮤니케이션본부 등을 총괄하고 있다.

 

저작권자 © 경제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