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플러스=주가영 기자] 자동차 사고율이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올해 자동차 사고율이 지난해에 비해 모든 지역에서 증가했으며 사고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인천(8.0%)으로 가장 낮은 제주도(4.4%)에 비해 약 2배 가까이 높았다.
사고율 높은 지역은 인천 다음으로 서울(7.0%), 대전(6.8%) 등의 순이었으며 반면 사고율 낮은 지역은 제주를 비롯 경북(4.7%), 경남(4.8%) 등이었다.
또 대도시지역 사고율(6.8%)이 도지역 사고율(5.7%) 보다 1.1%포인트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자동차 천대 당 사망자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전남으로 0.463명이었고 가장 적은 지역은 서울로 0.170명으로 나타나 2.7배에 달했다.
자동차 천대 당 부상자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인천으로 125.4명을 기록했으며 가장 적은 지역은 제주로 70.7명을 보여 1.8배에 이르렀다.
각 광역시도에 거주하고 있는 운전자가 생활권역내에서 사고를 일으켰는지 여부를 분석해 본 결과 전체 사고 중 약 4분의 3이 생활권내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나머지 4분의 1이 생활권 외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지역별 발생 사고를 법규위반별로 분석한 결과, 전체 사고 중 중대법규위반사고는 9.9%, 주취·음주사고는 1.9%로 나타났다.
개인용차량 기준 성별로는 여자의 사고율(6.8%)이 남자의 사고율(5.8%) 보다 1.0%포인트, 연령별로는 30세미만 운전자의 사고율(9.6%)이 다른 연령계층의 사고율(5.7~6.1%)에 비해 높았다.
보험가입기간별로는 1년 미만 최초가입자의 사고율(10.1%)이 3년 이상 가입자의 사고율(5.8%)의 1.7배에 달했다.
한편 사고발생 시간대별로는 오후 2~8시 사이에 전체 자동차보험 사고의 약 40%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고 월별로는 12월(9.3%), 10월(9.0%), 11월(8.8%) 순으로 사고발생이 많았다.
보험개발원 자동차보험본부의 박중영 팀장은 “대도시의 경우 교통량이 많아 사고빈도는 높지만 교통체증으로 인한 평균주행속도 감소로 대형사고보다 소형사고가 많이 발생한다”고 말했다.
이어 “도지역의 경우는 차량밀집도가 낮아 대도시에 비해 사고빈도는 낮음에도 상대적으로 과속운전에 의한 대형사고 비중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