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플러스=주가영 기자] 지난해 발생한 특수건물 화재 건수가 전년에 비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별 화재발생 건수는 경기도가 가장 높았으며 화재발생의 주된 원인은 부주의로 나타났다.

한국화재보험협회가 발간한 ‘2009 특수건물 화재조사분석’ 자료에 따르면, 지난 한해 특수건물 대상건수는 25,646건으로 전년 24,307건 대비 1,339건(5.5%)이 증가했다.

특수건물은 다수인이 출입·근무·거주하는 국가 주요시설과 11층 이상의 건물, 일정 규모이상의 학원·공장·병원·판매시설·학교, 16층 이상의 아파트 등 대형건물을 말한다.

특수건물의 화재발생건수는 1,292건으로 전년 1,179건 대비 113건(9.6%)이 증가, 특수건물의 대상건수에 대한 화재발생률은 5.04%로 2008년의 4.85%보다 0.19%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화재발생건수는 경기도 374건(28.9%), 서울특별시 187건(14.5%), 부산광역시 108건(8.4%) 등으로 경기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제주도가 4건(0.3%)으로 가장 낮아, 특수건물의 지역별 분포도와 대체적으로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화재발생 원인은 부주의가 472건(36.5%)으로 가장 높았고, 전기적 요인 318건(24.6%), 기계적 요인 178건(13.8%) 순으로, 방화(放火) 및 방화의심 건수도 99건(7.7%)으로 나타났다.

화보협회 관계자는 “특수건물의 대상건수가 증가함에 따라 화재발생 건수도 증가했다"면서 화재원인 중 부주의가 가장 높게 나타난 만큼 화재안전의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화재보험협회는 소방정책 및 화재보험 언더라이팅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2000 특수건물 화재조사분석’ 자료를 보험 및 소방 관계기관과 국내 손해보험사 등에 배포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경제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