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플러스=김동욱 기자] 정부가 소비자 물가와 관련해 관계부처 합동 회의를 매주 개최해 물가안정에 적극 대처하기로 했다.

정부는 3일 임종룡 기획재정부 제 1차관 주재로 '물가안정 관계부처 회의'를 개최해 매주 현장 물가점검을 벌여 이를 바탕으로 서민 생활에 물가고가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파악해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임 차관은 "소비자 물가 급등의 주원인은 이상기온에 의한 농산물의 작황 부진이지만, 물가가 오르면 서민이 가장 고통을 받기 때문에 물가관리가 민생안정의 핵심"이라며 "현장밀착형 물가점검과 물가대응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기획재정부와 농림수산식품부 등 관련 부처들이 앞으로 매주 물가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품목들에 대한 현장점검을 벌여 합동회의를 개최한다. 정부는 전국 1만명의 주부들로 구성된 `주부 모니터단'을 가동해 현장 체감 물가동향을 분석하기로 했다.

임 촤근은 "공정거래위원회, 국세청 등으로 구성된 관계부처 합동점검반을 상시 운용해 사재기와 담합 등 서민생활 안정을 위협하는 불공정행위 감시를 대폭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임 차관은 "공정위가 주요 생필품에 대한 국제가격 조사를 11월 중순까지 조기에 마무리지어 국내외 가격차이 분석뿐 아니라 그 원인까지 파악해 대책마련에 반영하겠다"며 "시장경쟁 촉진과 유통구조 효율화, 소비자감시 강화 등 물가구조의 선진화를 위한 구조적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경제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