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플러스=김동욱 기자] 검찰이 오늘 오전 신한금융그룹(신한지주) 전·현직 경영진 3명의 사무실을 전격 압수수색했다. 신한은행이 지난 9월2일 신 사장 등 7명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배임과 횡령 혐의로 고소한 지 두 달 만이다.

신한은행 고소·고발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3부(부장검사 이중희)는 이날 오전 검사와 수사관 수십 명을 서울 중구 태평로에 있는 신한금융ㆍ은행 본점에 보내 라 전 회장과 신 사장, 이 행장 등 3명의 집무실과 비서실에서 각종 전산자료와 결재서류, 회계장부 및 하드디스크등을 확보했다.

신한은행은 이들 경영진이 투모로그룹 등에 수백억원을 부당 대출하고 이희건 신한은행 명예회장의 경영자문료 15억원을 횡령했다고 보고 있다.

라응찬 전신한금융그룹회장, 신상훈신한지주사장, 이백순 신한은행장
라응찬 전신한금융그룹회장, 신상훈신한지주사장, 이백순 신한은행장
검찰 관계자는 "신 사장의 경영자문료 15억여원 횡령 혐의에 대한 고소 사건에서 추가로 제기된 의혹을 확인 중"이라며 "'빅3'의 자문료 사용을 횡령으로 의율할 수 있는지 명확히 하기 위해 압수수색을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신 사장 측은 경영자문료 15억원과 관련, 이희건 회장의 한국 방문 시 비서실장을 통해 전달하거나 라응찬 회장을 거쳐 7억여원을 전달했고, 나머지는 라 전 회장의 동의 아래 공금으로 썼다고 주장한다.

이에 따라 신 사장의 경영자문료 횡령 혐의와 라 전 회장 및 이 행장의 공동사용 여부 등이 주된 의혹으로 제기된 상황이다. 정치권에서는이백순 행장이 라 회장의 지시로 자문료 가운데 3억원을 비자금으로 준비할 것을 지시했다는 의혹도 제기된 바 있다.

이와 별개로 라 전 회장은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에게 건넨 50억원과 관련해 시민단체로부터 금융실명제법 위반 혐의로 고발됐다. 이 행장은 신 사장을 고소하면서 부당대출 의혹을 공개한 것과 관련, 은행법 위반과 허위사실 적시에 따른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를 당했다.

검찰은 지난 9월 말부터 신한사태에 대한 수사를 시작했으나 지금까지 압수수색을 미뤄왔다. 금융권에서는 지난 주 말 이사회에서 라 전 회장이 물러나고 류시열 회장 직무대행 체제가 공식 출범하는 등 사태가 수습되자 검찰이 본격적인 행동에 나선 것이란 분석이다.

이날 압수수색으로 3인에 대한 소환조사도 초읽기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당장 투모로그룹 및 금강산랜드 부당대출 혐의로 고소된 신 사장이 다음 주 소환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이들의 기소여부 등도 조만간 결론이 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관련, 앞서 검찰은 거액의 회사 돈을 횡령한 혐의로 지난달 28일 국일호 투모로그룹 회장을 구속했다.

한편 신한은행 본점 직원들은 다소 술렁이면서도 담담히 대응하는 모습이다. 라 전 회장의 직무대행을 맡은 류시열 회장은 '불쾌하지 않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사법판단에 따른 압수수색일뿐"이라며 의미를 두지 않는 모습이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검찰 조사가 계속 예고 된 시점이라 이미 예상하고 있었다"며 "직원들에 동요하지 말고 업무에 집중해 달라고 당부하고 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경제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