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플러스=김동욱 기자] 검찰이 임병석 C&그룹 회장을 구속 하면서 수사의 칼끝을 금융권에 정조준하고 있다.

검찰은 특히 C&그룹이 금융권으로부터 1조3000억원대의 대출을 받은 점에 주목하고, 이 과정에서 로비나 외압등의 불법이 있었는지를 치밀하게 파헤치고 있다.

C&그룹에 대한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는 25일 1000억원대의 사기대출과 계열사 부당지원 혐의로 구속된 임 회장에 대해 금융권 자금조달 경위에 대해 집중 조사를 벌이고 있다.

검찰과 금융권에 따르면, C&그룹은 지난 2002년에서 2006년 사이에 IMF 경제위기로 법정관리에 들어갔다가 공적자금으로 회생한 우방건설 등을 인수해 계열사에 편입했다. 이 과정에서 금융권으로부터 1조3052억원 가량을 대출받았는데 이중 5072억원 정도를 은행권에서 빌렸다.

이종휘 우리은행장
이종휘 우리은행장
검찰은 C&그룹이 기업인수합병에 나서면서 충분한 자금을 확보하지 못한 상황이었고 은행 측도 그룹의 재무상태를 잘 알고 있었지만 수천억원대의 대출을 성사시킨 점 등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C&그룹의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의 경우 은행권 대출의 절반에 가까운 2274억원이 물려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찰은 C&그룹이 주거래 은행인 우리은행으로부터 대출을 쉽게 받기 위해 현직 은행장의 동생을 사장으로 발탁했느냐는 의혹도 캐고 있다. 실제로 C&그룹은 2007년 자금압박에 시달리던 C&중공업 사장으로 당시 우리은행장이었던 박해춘 현 용산역세권개발 대표의 동생 박택춘씨를 선임했다.

이 외에도 C&그룹은 사세 확정에 따른 전문경영진 영입이라는 명분아래 시중은행 본부장, 증권사 부사장 등 금융권 인사들을 집중적으로 영입했다. 검찰은 C&그룹이 금융권을 설득하기 위해 정관계 로비도 함께 진행했을 것으로 보고, C&그룹 전 부회장 임모씨를 소환할 계획이다.

한편 지난 21일 C&그룹 본사와 계열사 압수수색과 함께 전격 체포돼 구속된 임 회장은 검찰 조사 과정에서 대부분의 혐의를 완강히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임 회장은 구속영장실질심사에서 “기업을 하다 보면 정치인도 만나고 금융인도 만날 수 있지만, 저는 평균 이하만 했다”며 “계열사간 지원은 전체 그룹을 살리기 위해 불가피한 경영상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해명했다.
 

저작권자 © 경제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