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플러스=주가영 기자] 최근 휴대폰의 가격과 보험료는 지속적으로 오르는데 휴대폰 보험금은 떨어져 소비자의 외면을 받고 있다.

올해 분실된 휴대폰만 9월 말 현재 233만대에 이르고 연말까지는 250만대 안팎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보험료를 낮춰 소비자의 보험 가입 확대를 유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22일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간사 한선교 의원(한나라당)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휴대폰 가입자 4999만8000명 가운데 보험에 가입한 사용자는 181만6000명으로 전체의 3.6%에 불과했다.

가입률 자체는 2008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그 폭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가입자가 급증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경우 월 부담금은 물론 자기 부담금까지 인상되고 있어 향후 가입률은 더욱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

이동통신사와 보험회사의 경쟁적인 개별계약으로 인해 소비자가 상대적으로 높은 보험료와 낮은 보상금을 그대로 적용받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휴대폰 보험을 취급하는 보험회사의 평균 손해율은 62.4%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자동차보험의 손해율 70~80%보다 낮은 수준이다.

자신의 이통사의 보험 서비스가 보험료나 보험금 측면에서 타사보다 비교 열위에 있더라도 통신사를 바꾸지 않고서는 보험사를 바꾸기 어렵다는 것도 문제다.

현재 SK텔레콤은 한화ㆍ메리츠, KT는 삼성ㆍ현대ㆍ동부, LG U+는 LIG와 같은 보험사와 계약을 맺고 있다. 해외에서 휴대폰을 분실할 경우에는 대부분 보험 가입이 안 돼 있거나 절차가 까다로워 어려움이 크다.

한 의원은 “이통 3사가 소비자의 입장에서 최저의 보험료로 최상의 보험금을 받을 수 있도록 공동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협상 경쟁력이 높아져 보험료 인하, 보상금 증대라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경제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