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플러스=정희원 기자]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산은지주 민영화 방안이 계획대로 이행될지에 대한 의문과 대우조선해양의 비자금 의혹에 대해 집중적으로 추궁했다.
19일 산업은행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임영호 자유선진당 의원은 “무디스 아·태 지역 담당 수석 애널리스트가 지적한 바와 같이 자금 조달구조 개선방안이 부재하고 취약한 자산·수익구조가 문제점이다”며 “민영화가 가시화될 경우 산업은행은 신용등급의 하향조정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조문환 한나라당 의원은 산업은행의 민영화를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익구조가 취약한데 어떡해 할거냐는 질문에 유재한 정책금융공사 사장은 “공기업주식을 가져와서 이자부담으로 적자 폭이 커졌다”며 “한전주식을 9조원정도 갖고 있는데 한전이 경영정상화 되면 상당한 이득을 갖을 것이다”고 대답했다.
박병석 민주당 의원은 “정부가 강도 높은 감사를 하면서 즉, 손발을 묶어놓고 민영화하라고 재촉한다”며 “금융위는 산업은행이 국내에서 경쟁력을 갖지 못한다면 해외진출의 기회라도 열어줘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한 이날 정무위 국회의원들은 남상태 대우조선해양 사장의 비자금 조성 의혹 및 정권 실세를 상대로 한 로비 의혹과 관련해 강도 높은 질문을 쏟아냈다.
조영택 민주당 의원은 산업은행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대우조선은 대선 직후인 2008년 1월 31일 협력업체인 임천공업에 납품대금 상승분 43억여원을 추가 지급했는데 품의서만으로 지출되는 등 의문스러운 점이 있다"며 "이 돈이 남상태 사장의 연임로비를 위함 비자금이라는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조 의원은 민유성 산업은행장에게 “대우조선해양의 방만한 경영, 부도덕한 임원선임, 계열사 매각 의혹 등에 대해 제대로 관리했느냐”며 “대주주로서 산업은행이 아무런 감독 활동을 하지 않느냐”고 물었다.
이성남 민주당 의원도 민 행장에게 “대우조선의 디섹 지분매각은 매각가격이 자신들이 재무제표를 통해 평가한 가격보다 한참 낮아 헐값·특혜매각이라는 의혹이 있다”며 “이러한 자회사 지분 매각은 기업들의 전형적인 비자금 조성 방법으로 만약 산업은행이 대주주로서 제 역할을 하고 관리했다면 이런 의혹이 제기되지는 않았을 것이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민 행장은 “현재 대우조선 해양은 워크아웃을 졸업하고 전문경영인 체제로 운영되는 정상기업이다”며 “산업은행이 대우조선을 제대로 관리했어야 한다는 지적에 동감하고 구체적인 관리방안을 만들겠다”고 대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