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부, "물가 안정 채소 값 정상화에 달려"

2010-10-01     김동욱 기자

[경제플러스=김동욱 기자] 기획재정부는 앞으로 물가 안정은 그간 크게 상승한 배추와 무 등 채소류 가격의 정상화 정도와 속도에 좌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재정부는 1일 통계청의 9월 소비자 물가 동향 분석을 통해 9월 소비자물가가 예상보다 높게 나온 것은 전체 물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45%에 불과한 채소류 가격의 급등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고 진단했다.

이날 통계청에 따르면 이상기온과 추석 명절까지 겹침에 따라 9월 소비자 물가가 한국은행의 정책 목표치인 3%선을 훨씬 넘어선 3.6%나 급등했다. 특히 태풍 등의 영향으로 채소와 과실류 등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45.5% '폭등'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해 같은 달 대비 품목별 물가 상승률은 농축수산물 중에서 배추가 118.9%로 곱절 이상 급등했으며 마늘(101.1%), 파(102.9%), 무(165.6%), 상추(233.6%), 시금치(15.4%), 호박(219.9%), 오이(133.7%), 열무(205.6%) 등도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9월 소비자물가의 이례적인 상승은 기후요인에 의한 일시적인 공급부문 충격이라고 재정부는 진단했다. 농산물 가격이 평년 수준의 상승률(00~09년 평균, 3.2%)을 유지했다면, 9월 물가상승률은 2.9% 수준이었을 것이란 분석이다.

또한 개인서비스 요금이 안정세를 유지하고 근원물가도 1%대를 지속하는 등 수요측면의 물가압력은 아직 크지 않은 것이라는 판단이다.

재정부 관계자는 "시금치, 상추 등 생육기간이 짧은 품목은 기상여건이 호전되면 조기에 안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무와 배추 등은 가을 배추가 출하되는 10월하순부터 상황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물가안정에 불안요인이 될 수 있는 무, 배추 등의 공급확대 방안 등 사용 가능한 모든 대책을 세워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