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청년층' 전세 줄고 월세·자가 증가… 주거 양극화 심화
[경제플러스=정한국 기자] 30대 초반에 전세 세입자 비율은 점차 감소하고, 월세·자가 거주 비율은 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통계청 국가통계연구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 혼인·출산·주거'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5년 단위로 시행되는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를 코호트(cohort·공통된 특성을 가진 사람들 집단) 분석해서 1970∼1974년생, 1975∼1979년생, 1980∼1984년생, 1985∼1989년생 일반가구원의 주택 점유 형태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31∼35세(이하 30대 초반) 연령대 가구원 중 월세 형태 비율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1970∼1974년생이 30대 초반이던 때엔 월세 거주 비율이 17.3%였다.
이후 1975∼1979년생이 30대 초반이 된 시기엔 이 비율이 19.0%로 증가했다.
월세 비율은 1980∼1984년생 경우엔 20.8%, 1985∼1989년생은 21.3%로 계속 늘었다.
30대 초반에 '월세살이'를 하는 비율이 갈수록 늘고 있다는 의미다.
한편으론 자가에서 사는 사람의 비율도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30대 초반 자가 거주 비율은 1970∼1974년생이 48.1%, 1975∼1979년생이 46.6%, 1980∼1984년생이 51.1%, 1985∼1989년생이 49.0%였다.
이에 반해, 30대 초반 시기 전세 거주 비율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우하향'하는 흐름을 나타냈다.
보고서는 "가족 형성이 가장 활발한 30대 초반 청년층의 주거 점유 형태에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해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