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아파트값 '서울 아파트'로 쏠림 현상 심화
[경제플러스=송성훈 기자] 지난해 아파트 시장은 금리 부담과 경기 침체로 어두운 분위기가 이어졌지만, 서울 아파트만 회복세를 보였다.
서울 아파트 시장은 매매와 전셋값이 비슷한 수준으로 올랐으나 다른 지역은 상대적으로 침체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상황이다.
27일 한국부동산원의 월간 아파트값 변동률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아파트값은 전국적으로 0.07% 상승했다.
직전 2년 연속해 아파트값이 하락했다가 상승 전환한 것이지만 보합에 가까운 미미한 상승이다.
지난해 전국 17개 광역시도 가운데 아파트값이 오른 곳은 5곳뿐이다.
서울 아파트값이 4.67% 올라 오름폭이 가장 컸다. 인천(1.54%), 강원(0.66%), 경기(0.57%), 전북(0.34%) 등도 가격이 올랐으나 사실상 서울 아파트 나홀로 상승장에 가깝다.
이에 비해 세종(-6.46%)과 대구(-4.93%)의 매매 가격은 하락률 1, 2위를 기록했고 부산(-2.67%)과 제주(-2.35%), 경남(-1.53%), 광주광역시(-1.36%) 등 지방은 상대적으로 하락폭이 컸다.
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은 강남권과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인기 지역이, 전세 가격은 주로 노원구를 비롯한 비강남권이 상승을 견인했다.
재개발 사업 호재가 있는 성동구는 작년 아파트값이 9.60% 올라 서울 25개 구 가운데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서초구(9.34%)와 송파구(8.62%), 강남구(7.39%) 등 강남 3구가 그 뒤를 이었고 마포구(7.22%)와 용산구(7.18%) 순으로 오름폭이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