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신한사태, 이백순 행장이 주도한 하극상'

국회 정무위 국감서 의원들 신한사태 추가 의혹 잇따라 폭로

2010-10-22     김동욱 기자

[경제플러스=김동욱 기자]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에 대한 22일 국정감사에서 신한금융그룹 내분사태와 라응찬 회장의 금융실명제법 위반 논란에 대한 추가 의혹이 집중 제기됐다.

국회 정무위원회소속 신 건 의원(민주당)은 이날 국감에서 최근 신한금융 내분 사태를 ‘이백순 행장의 치밀한 계획 아래 진행된 하극상’으로 규정하고 내분 과정에 대해 상세한 제보를 공개했다.

신상훈 신한금융지주사장, 라응찬 신한금융그룹회장, 이백순 신한은행장
신 의원은 “신상훈 신한금융 사장이 라 회장의 차명계좌 정보를 한나라당 의원에게 제공했다고 의심한 이 행장은 지난 6월부터 시내 P호텔에 태스크포스(TF)까지 만들어 신 사장측 인사들을 인사 조치하는 등 모종의 전략을 수립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 9월2일 이 행장이 신 사장 방에 들어가 서류를 던지면서 '사표를 내든지 고발 당하든지 알아서 하라"고 폭언을 했고 신 사장이 사퇴를 거부하자 바로 고발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서 “신 사장에 대한 검찰의 신속한 수사에는 이 행장이 지난 4월께 라 회장과 동향 출신인 검찰 고위간부와 만나 사전 조율을 했다는 제보도 있다”며 “신 사장의 불법행위 여부는 검찰 수사를 통해 밝혀지겠지만 신한은행 전체가 혼란해 진 것은 이렇듯 이 행장이 신한은행을 장악할 음모로 치밀하게 일을 벌였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같은 당 조영택 의원은 “라 회장이 지난 2007년 부하 직원들과 공모해 박 모씨 등 12명 명의의 계좌를 임의 개설, 180억원 가량을 횡령했다는 혐의로 박씨에 의해 고소됐지만 지난해 11월 무혐의 결정을 받았다”며 “경북 상주 출신 모임인 ‘상촌회’를 통해 라 회장과 가까운 관계를 맺어온 노환균 서울지검장이 고소인과 라 회장을 중재했다는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조 의원은 라 회장의 차남이 지난 1992년께 신한은행 입사 후 고속승진을 거쳐 지주 자회사인 신한 PE 이사 재직 후 사퇴했으며 이후 종로구 공평동 재개발 사업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라 회장의 비자금을 자금처로 활용했다는 의혹을 새로 제기했다.

자유선진당 임영호 의원은 라 회장의 실명제법 위반 혐의에 대한 금감원의 묵인이 사태를 키웠다고 지적했다.

임 의원은 “라 회장이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에게 50억원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차명계좌를 이용했다는 사실이 지난해부터 언론을 통해 여러 차례 보도가 됐다”며 “차명계좌를 통해 자금이 거래됐다면 당연히 금융실명제법 위반 의혹이 있다는 것은 삼척동자도 알수 있다”고 주장했다.

임 의원은 “원본자료를 은행에 돌려준 뒤에도 금감원은 계속 뒷짐만 진채 조사에 나서지 않는 등 여러 정황들을 종합해 볼 때 금감원은 의도적으로 라 회장의 실명제 위반에 대한 조사에 나서지 않았다는 의혹을 피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라응찬 회장과 이백순 행장을 비롯, KB금융지주 어윤대 회장, 강정원 전 국민은행장 등 이날 증인으로 채택된 인사들은 전원 불참했다. 이중 신한사태와 관련된 인물 중 국내에 있는 이 행장에 대해 정무위는 이날 오후 4시까지 국감장에 출석하라고 동행명령증을 발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