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수 한은 총재, “금리동결 결정 어려웠다”
환율, 물가, 글로벌 공조, 부동산 활성화 등 다양한 문제
[경제플러스=정희원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0월 기준금리를 2.25%에서 동결했다.
금통위는 환율, 물가, 글로벌 정책 공조, 부동산 시장 활성화 등 다양한 문제들을 고려한 결과 동결로 결론을 내렸다. 위원회 의원들은 전원 찬성이 아닌 각양각색의 의견을 내세웠다.
환율은 미국의 양적완화책 때문에 글로벌 달러가 약세를 띠면서 원-달러 환율은 1110원대까지 내려왔다.
원-달러 환율이 추가 하락할 경우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내 경제에 부담이 가중될 수 밖에 없다. 금리를 올릴 경우 환율의 추가 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우려됐다.
지난 9월 소비자물가가 전년비 3.6% 상승하는 등 물가에 대한 우려가 깊어졌지만 기준금리가 인상될 경우 원-달러 환율이 하락세가 가속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작용했다. 특히 채소값 폭등으로 소비자들의 체감 물가는 크게 느껴졌다.
김중수 총재는 “소비자 물가는 농산물가격 급등으로 예상외로 체감 상승률이 높아졌다”며 “농산물 가격 급등의 기여도가 0.7%p로 추정되고 이를 제외하면 소비자물가는 2.9%수준이다”고 밝혔다.
김 총재는 “물가를 최우선으로 보고 환율이 금리결정의 절대적 변수는 아니다”며 “환율 전쟁의 상황은 상방보다 하방리스크 요인이 될 가능성이 크고 대외여건이 큰 영향을 미치는 우리나라에서 대외여건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금리동결은 11월 금통위가 열리는 다음달 16일에는 G20 정상회의도 마무리된 상황인 만큼 글로벌 정책공조에 대한 부담도 줄일 수 있다.
일본, 중국 등 주변국들의 첨예한 대립으로 어떻게 전체의 균형을 맞춰가야 하는것이 이번 G20 정상회의의 중요한 과제이다. 토론을 거쳐 어떻게 불균형을 해소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것이다.
또한 정부가 DTI규제를 완화하는 등 부동산 시장 활성화를 위해 8.29대책 등 강수를 뒀지만 효과를 발휘하고 있지 못한것 역시 금통위원들의 판단을 동결로 이끌었을 가능성도 크다.
한편 호주중앙은행이 금리를 동결하고 일본중앙은행이 금리를 인하한 점도 부담이 됐다. 미국의 경우 다음달 FOMC에서 추가 양적완화를 발표할 것으로 예정돼 있다.
국내증시는 이미 FOMC의 양적완화결정을 어느정도 반영한 시장인 만큼 막상 양적완화를 발표한 이후 차익실현이 나올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그래서 원-달러 환율의 가파른 하락세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