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 "라응찬 회장 등 신한지주 경영진 즉각 사퇴해야"

2010-10-13     김동욱 기자

[경제플러스=김동욱 기자]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라응찬 회장 등 신한지주 경영진의 즉각 사퇴를 촉구했다.

경실련은 13일 신한금융지주의 라응찬 회장과 이백순 행장의 위법사실이 마치 양파껍질 벗기듯 계속해서 불거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현재 신한사태는 신상훈 사장에 대한 이백순 행장의 고소, 고발로부터 촉발된 신한금융지주 사태는 라응찬 회장의 비자금 조성과 차명계좌 의혹을 거쳐, 이제는 정권 실세에 대한 로비게이트로 이어지기 직전 상황까지 와 있는 상태다.

라응찬 신한금융그룹회장
일단 금융감독원도 조사를 통해 인정했듯이 라 회장과 이 행장의 공모를 통한 가차명 계좌를 통한 비자금 관리는 사실로 확정되었다.

경실련은 드러난 일련의 행위로 인해 라 회장과 이 행장은 금융실명제법 위반, 은행법 위반, 조세법 위반, 특별범죄가중처벌법 위반과 형법상 뇌물수수 등 7가지 불법행위에 대한 피의자 신세가 됐다고 꼬집었다.

경실련은 금감원과 검찰이 조금만 주의를 기울였다면 사태가 이 지경에까지 이르지 않았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실상 금감원 등 금융감독 당국의 묵인, 방조, 직무유기가 없고서는 이러한 불법행위가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또한 금감원이 이번 신한금융지주와 관련한 위법사항에 대해 관리감독 부실에 대한 1차적 책임을 져야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2008년 라응찬 회장의 차명계좌를 발견하고 2009년에도 라응찬 회장의 금융실명제법 위반사항에 대해 강도 높은 조사를 했음에도 이를 덮음으로써 사태를 오늘날까지 키운 책임에 대해 금감원은 책임을 면할 길이 없다고 소리를 높였다.

경실련은 국민에게 큰 실망감을 안겨준 금감원은 대국민사과를 통해 잘못을 반성하고 이러한 일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재발방지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하면서 검찰 역시 사건처리를 위해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실련 관계자는 "신한금융지주의 빠른 정상화를 위해 라응찬 회장 및 신상훈 사장, 이백순 행장에 대한 성역 없는 조사를 통해 위법사항에 대해 조속히 처리하길 촉구한다"며 "라 회장 등 경영진은 더 이상 신한은행을 볼모로 경영권에 집착하지 말고, 검찰과 금융당국의 조사에 성실히 임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라 회장 등이 진정으로 신한금융그룹을 위한다면, 주주, 고객과 그룹 이미지를 생각해서라도 사퇴 등의 결단을 내려 신한금융그룹이 하루빨리 정상화되도록 하는 것이 세 사람에게 남겨진 마지막 기회임을 명심하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한편 국회 정무위원회도 라응찬 신한금융지주 회장과 어윤대 KB금융 회장, 강정원 전 국민은행장 등에 대한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했다.

정무위는 지난 12일 오후 전체회의를 열고 라 회장의 차명계좌 의혹과 신한금융 사태와 관련, 라 회장의 진술이 필요하다고 보고 증인 채택 안건을 의결했다.

또 아이폰 등 소비자분쟁과 관련해 애플컴퓨터의 패럴 하우디 애프터서비스 담당임원을, 서민금융과 관련해 김민영 부산저축은행 대표이사, 임 석 솔로몬저축은행 회장을 증인으로 각각 채택했다.

국감에 불참한 어윤대 KB금융지주 회장, 강정원 전 국민은행장, 유선기 KB금융 전 경영자문역과 조재목 국민은행 사외이사 등 8명의 증인과 1명의 참고인에 대한 재출석 요구 안건도 처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