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해외 데이터로밍 이용량 350% 급증했다
해외 데이터로밍 이용량 684GB...SK텔레콤 163%, KT 무려 980% 증가
[경제플러스=김동욱 기자] 스마트폰이 대폭 확산되면서 해외에서의 데이터로밍 서비스 이용량도 해마다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경재 한나라당 의원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해외 데이터로밍 이용량은 684GB로 전년 상반기 이용량 152GB보다 350% 급증했다.
SK텔레콤은 163%, KT의 경우 무려 980%의 증가율을 보여 아이폰 출시 이후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의 데이터 이용량도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경재 의원은 스마트폰 보급 확산이 데이터서비스 수요를 폭발적으로 증가시킨 원인이라며 일반폰의 데이터로밍 이용량과 비교하면 4배가 증가한 셈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통사의 매출액도 226%로 급속히 증가하는 등 이용자의 수요가 음성통화 부문에서 점차 데이터 서비스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데이터로밍 증가에 따른 이용자의 요금부담도 가중되는 상황임을 감안할 때 이동통신사의 이용자 보호대책은 제각각이고 익숙치 않아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지적도 있다. KT가 10만원 이상 사용시 자동 차단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반해 SK텔레콤은 적정요금 초과시 알림서비스만 제공할 뿐 차단서비스를 하지 않고 있다.
이경재 의원은 “이통사의 보호대책도 제한적이나마 효과를 거둘 수 있겠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다”며 “이용자 수요에 적합한 로밍서비스의 개선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또 “국제전화의 경우 로밍과 동일하게 승인사항이었으나,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에 따라 신고 사항으로 완화됐다”며 “해외로밍 서비스의 경우, 최근 3년간 불승인 사례가 없고 규제 형평성 차원에서 신고제로 완화해 이통사의 부담을 경감시켜 주는 것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