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플러스=황유진 기자] 미국이 중국 ‘화웨이’에 대한 거래 제한 조치에 한국의 동참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내 IT·전자 업계에 미칠 파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수출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대기업의 경우 글로벌 통상 질서를 주도하는 미국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지만 화웨이와 '절연'할 경우 방대한 중국 시장에서 매출 타격이 불가피해 이래저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전자 등 국내 대표적인 IT·전자 대기업들은 최근 미중 통상전쟁 및 화웨이 사태에 따른 경영실적 영향 분석과 대응책 마련에 일제히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삼성전자는. 화웨이가 서버용, 모바일용 메모리 반도체의 주요 고객사이자 스마트폰 시장에선 경쟁자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올 1분기 사업보고서에서 "당사의 주요 매출처는 애플, AT&T, 도이치텔레콤, 화웨이, 버라이즌(알파벳 순)으로, 이들이 차지하는 매출 비중은 전체의 15% 수준"이라고 밝혔다.

특히, 화웨이와는 3년간의 특허 분쟁후 지난 2월 말 '상호 특허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면서 지식재산권 부문에서도 관계를 강화했다.

삼성전자의 중국 매출은 화웨이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지난해 전체 매출(243조7천700억원) 가운데 17.7%(43조2천100억원)를 중국에서 올렸을 정도다.

전년(16.0%)보다 비중이 더 커졌다. SK하이닉스의 경우 최근 중국 매출 비중이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어 화웨이 사태의 '불똥'이 실적의 또다른 변수로 떠올랐다.

올 1분기 매출(6조7천700억원) 가운데 중국이 절반 가까운 47%(3조1천600억원)를 차지했다. 지난해 1분기의 37%(8조7천200억원 중 3조2천600억원)에 비해 10%포인트나 오른 것이다.

또 우시와 충칭에 현지 생산라인을 운영하고 있고, 현지 자회사만 13개에 달한다. LG는 5G 이동통신망 구축에 화웨이 장비를 사용하고 있는 LG유플러스가 곤혹스러운 입장에 처해 있다.  

저작권자 © 경제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