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플러스=황유진 기자] KT 아현지사 화재로 서울 서대문·용산·마포 일대의 모든 일상이 올스톱 되는 일이 일어났다. 이처럼, 통신 끊기면 얼마나 큰 혼란을 초래될지 새삼 실감케 했다.

이번 화재를 계기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근간인 정보기술(IT) 기반 시설의 방재 대책을 확고히 수립해 유사 사고의 재발을 예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이웃나라 일본에선 지난 1984년 전신전화공사(NTT) 도쿄도 세타가야 전화국에서 회선 증설 공사 도중 불똥이 지하 케이블로 옮겨붙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화재로 관내 전화 8만9천여 회선이 일제히 끊겼다. 또 미쓰비시·다이와 등 일부 은행의 온라인시스템이 작동을 중단했고 경찰·소방 등 행정관청 연락망도 불통이 되는 등 한바탕 혼란이 일어났다.

당시 화재를 계기로 일본은 지하통신구 300㎞ 전 구간에 집중 감시장치를 설치했다. 또 통신구의 케이블을 난연 재질로 바꾸고 화재 확산을 막는 방호벽을 설치하는 등 조처도 단행했다.

이후 일본에선 세타가야 전화국 화재처럼 큰불이 일어나 대도시 통신망이 마비되는 사태는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유사 사고가 되풀이 되고 있다.

1994년 서울 종로5가 통신구에서 불이나 선로 32만1천회선이 손상되고 방송사 송출이 중단되는 대형 사고가 발생했다.

통신구 화재는 같은 해 11월 대구, 2000년 2월 여의도 등 그 뒤로도 심심찮게 일어나 통신망 마비를 초래했다.

전문가들은 사회에 큰 혼란을 초래할 관련 시설의 재난·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당국의 관리·감독 수준도 그에 상응하는 수준으로 올라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경제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