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올해 들어 리콜 결정을 내린 차량이 170여건, 130만대를 기록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규모는 역대 최대 리콜을 기록한 2004년의 136만대에 근접한 것이다. 역대 기록 경신이 '코앞'으로 다가왔고, 연말까지 아직 5개월이나 남아 있어 리콜 규모가 얼마나 늘어날지 주목되고 있다.

26일 국토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금까지 리콜 결정을 받은 차량은 총 172건, 130만8천758대다.

올해 1월 짚 랭글러·짚 체로키·렉서스 RX350 등 17개 차종, 4천423대를 리콜한 것을 시작으로 국토부는 최근에도 벤츠 AMG E63 승용차와 애스턴마틴 DB11 스포츠카 등 24대를 리콜했다.

자동차 자기인증제가 도입된 2003년 이후 리콜이 가장 많이 발생한 것은 2004년으로 총 115건, 136만9천925대가 리콜됐다.

이후 리콜 결정 차량이 100만대를 넘긴 해는 2013년과 2015년으로, 각각 103만7천151대, 103만2천906대였다.

2013년에는 현대·기아차가 브레이크 스위치 접촉 불량으로 19개 차종 82만5천대를 대량 리콜했고, 2015년에는 르노삼성자동차가 SM3·SM5 승용차 엔진마운트 고정볼트 결함으로 39만2천대를 리콜했다.

지난해 국토부가 리콜 결정을 한 차량은 62만5천대로 전년보다는 줄었다. 하지만 2009년 15만9천대, 2010년 27만대, 2011년 26만8천대 등과 비교하면 대폭 늘어난 것이다.

올해는 벌써 130만대나 리콜 결정을 받았기 때문에 역대 최고 기록 경신은 확정적이다.

국토부는 현대차 김광호 전 부장이 제보한 32건의 제작결함 의심사례에 대해서도 차례로 조사를 진행 중이어서 조사 결과에 따라 리콜 대수는 더 늘 전망이다.

32건 중 3건에 대해선 현대·기아차가 자발적 리콜을 했다. 5건에 대해선 국토부가 강제리콜 명령을 내렸고, 9건은 국토부가 공개 무상 수리를 권고했다.

현대·기아차가 자발적 리콜을 한 세타2 엔진결함 차량이 17만대, 국토부가 강제리콜 명령을 내린 5건이 24만대에 달해 전체적인 리콜 대수가 늘었다.

국토부는 이달 18일부터 '자동차 결함 조기 경보제'를 도입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제작사는 무상 수리 등을 목적으로 자동차정비업자와 주고받은 기술정보자료와 자체 또는 외부 요청으로 조사한 자동차 화재·사고 관련 기술분석자료를 모두 국토부에 제출해야 한다.

국토부는 이 자료를 분석해 결함과 관련한 경향성을 발견하면 경고를 하는 등 선제 조치에 나설 계획이다.

또 지금까지 자동차 제작사들이 리콜 통지를 우편으로만 하던 것에서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도 알리도록 하는 등 소비자 보호 장치도 강화했다.

저작권자 © 경제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