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플러스=이지하 기자] ‘2015년 글로벌 초일류 건설사 도약’. 삼성물산의 다짐이다.

삼성물산은 매년 30% 이상의 성장을 통해 2015년까지 건설부문의 신규수주 500억 달러, 매출 300억 달러 규모의 세계 10대 건설사적 건설사로 거듭날 것이라는 목표를 대내외에 천명하고 있다.

삼성물산의 이 같은 자신감에는 플랜트 분야에서 쌓아온 경험과 기술력, 미래 성장 가능성이 뒷받침하고 있다. 올해 3분기까지 총 8조5000억원의 수주 중 해외가 4조3000억원을 차지하고 있어 삼성물산의 글로벌 건설사 도약은 이미 현실화되고 있는 중이다.

삼성물산은 올해 대폭적인 실적개선과 함께 그동안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해외사업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이같은 실적 배경에는 지난 3월 취임 이후 경영진단 등을 통해 회사의 체질을 개선하고 세계 일류 회사로 거듭나기 위해 적극적인 공격경영에 나선 정연주 삼성물산 사장이 있다. 삼성엔지니어링을 세계 일류회사로 키워낸 능력을 삼성물산에서도 그대로 발휘하고 있는 것이다.

정 사장이 부임하기 직전인 2002년 삼성엔지니어링의 매출액은 1조원, 영업이익은 300억원에 불과했지만 재임기간 동안 각각 3조4천700억과 3천156억원으로 240%와 950%가 급증했다. 매출실적은 곧바로 주가로 이어져 같은 기간 30배 이상 상승하기도 했다.

삼성물산으로 자리를 옮긴 정 사장은 건설부문에서 또 한번의 신화창조를 이루고 있다.

삼성물산은 국내외에서 다양한 발전플랜트 프로젝트 수주를 통해 기술력과 경험을 축적했다. 국내시장에서는 당진화력 1·2호기와 3·4호기, 7·8호기를 비롯해 하동화력 7·8호기를 성공적으로 건설했으며, 해외에서는 2000년 싱가포르 세라야복합화력발전소, 2003년 인도네시아 무아라따와르 가스터빈발전소 EPC공사, 2007년 싱가포르 아일랜드파워 복합화력 건설공사를 맡아 발전플랜트 분야의 세계적 강자로 부상하고 있다.

2008년에는 아부다비 알수웨이핫 S2 민자담수발전 프로젝트에서 8억1000만 달러 규모의 발전분야 수주실적을 올리기에 이르렀다. 한화로 1조원 규모의 이 프로젝트 수주로 삼성물산은 발전플랜트의 분야에서 세계적인 지명도를 확보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삼성물산은 플랜트 분야의 꽃이라 불리는 원자력발전소에서도 국내를 넘어 세계적인 지명도를 쌓아가고 있다. 처음 원자력 발전 건설시장에 진출한 것은 울진 원전 5·6호기 시공에 나서면서 부터다. 이 사업을 성공적으로 준공하면서 원전 단독 시공능력을 확보했고 한국표준형원전을 최단기간에 시공하는 기록도 남겼다.

국내시장에서 쌓은 기술력과 경험은 아부다비 원전 수주로 이어졌다. 아부다비 원전에서 삼성물산의 계약규모만 25억 달러에 이른다. 무엇보다 전세계적으로 급격히 시장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원전 분야를 선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삼성물산은 올해 4분기에만 싱가포르와 사우디아라비아 등에서 18억 달러 규모의 복합화력발전소 입찰에 참여하는 등 공격적으로 시장 규모를 확대해가고 있다. 시장 확대 추세는 내년부터 더욱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삼성물산의 적극적인 시장 확대가 가능한 것은 글로벌 인프라와 역량 확보 노력에  있다. 삼성물산은 글로벌 시장에서 발전EPC 사업의 세계적인 위상을 확보하기 위해 국내외 우수 설계인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해오고 있으며, 나아가 발전EPC 선진 업체들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발전EPC 역량을 갖출 계획이다.

정 사장은 이 같은 중장기비전을 실현할 열쇠는 세계적인 우수 인재를 확보하는 것이라고 굳게 믿고 있다. 그는 이미 본사와 현장을 중심으로 영어공용화 부서 확대, 외국인 컨설턴트 운용, 임직원의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센터 설립, 임직원 외국어 교육지원 강화 등의 다양한 제도를 도입했다.

외국인 컨설턴트가 상주하면서 영어업무에 대한 컨설팅을 진행하고 영어회의, 외국인 임직원과의 교류, 영어자료 열람이 가능한 글로벌 커뮤니티센터가 운영 중이다.

정 사장은 “우수인재는 기업이 성장하는 데 가장 필수적인 조건”이라며 “글로벌 우수 인재를 꾸준히 확보하고 기존 인력의 전문성을 보다 강화해 글로벌 건설사로서의 위상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본 기사는 본지 주간 '경제플러스'紙 11월30일자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경제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