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공시 위반이라 답변을 할 수 없습니다”

최근 모기업 한국금융지주로부터 유증을 받은 한국투자증권과의 취재과정에서 나온 답변이다. 시장에서 불거지고 있는 모기업의 재무건전성 우려와 조달된 단기성 CP 상환계획 등에 대한 질문에 대해 공정공시 위반이라는 해괴한 답변을 내놓은 것.

최근 한국투자증권은 금융당국의 대형 IB 육성 방침에 발맞춰, 자기자본 요건인 3조원 가이드라인을 맞추기 위해 모기업으로 7300억원의 수혈을 받았다.당초 자통법 이후 우후죽순 늘어났던 증권사들간의 인수합병을 통한 대형화를 원했던 당국의 취지와는 많이 다른 모양새다.

거래소 관계자는 간단한 답변을 내놨다. ‘대체 누가 그런 말을 하느냐’는 것. 그는 보도관련 취재에 대해 예외를 허용하고 있는 공정공시제도 조항까지 읊어주며 기자의 정당성을 대변해줬다.

이번엔 거래소 핑계를 댔다.

한국투자증권 담당자는 답변 취지에 대해 “공시와 관련돼 말을 하면 거래소에서 전화가 자주와 그렇게 답했다”라고 말했다. 거래소가 문제라는 것. 

취재과정에서 ‘답변이 곤란하다’도 아닌, ‘공정공시 위반‘을 당당하게 내세웠던 한국투자증권을 생각해보면 궁색하기 짝이 없는 변명이다. 한국투자증권의 묘수찾기로 거래소는 순식간에 이번 일의 '원흉'이 됐다.

자본시장에서 의혹에 대한 언론의 취재행위는 혹시 있을지 모르는 불공정하고 불법적인 거래를 막고, 투명성 제고를 통해 선의의 투자자들의 피해를 예방하는 최소한의 감시역할을 한다.

기업의 내부정보를 활용한 특정관계자들의 편취를 막고, 일반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중요정보의 공평한 제공을 취지로 하는 공정공시제도와 근간이 같다.

국민과 투자자들의 알권리를 위한 행위에도 공정공시제도를 코에 걸었던 한국투자증권의 대응은 오히려 시장의 의혹만을 부채질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의 바른길을 감시할 사외이사 구성에 한국금융지주 임원이 다수 포진해 있는 데는 다 이유가 있었나 보다.

저작권자 © 경제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